목록분류 전체보기 (86)
All :L

[서비스 공격 유형 (2/3)]💡 네트워크 침해 공격 관련 용어▶️ 세션 하이재킹: '세션을 가로채다'는 의미, TCP 3-Way-Handshake 과정에 끼어뜲으로써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동기화된 시퀀스 번호를 가로채 서버에 무단으로 접근하는 것▶️ ARP 스푸핑: 로컬 네트워크(LAN)에서 사용한 ARP의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 기법▶️ 스미싱▶️ 사회 공학: 인간 상호 작용의 깊은 신뢰를 바탕으로 사람들을 속여 정상 보안 절차를 깨트리기 위한 비기술적 시스템 침입 수단▶️ 다크 데이터: 특정 목적을 가지고 데이터를 수집했으나, 이후 활용되지 않고 저장만 되어 있는 데이터▶️ 타이포스쿼팅: 네티즌들이 사이트에 접속할 때 주소를 잘못 입력하거나 철자를 빠뜨리는 실수를 이용하기 위해 유사 도메인을 미리..

[서비스 공격 유형 (1/3)]💡 서비스 거부(DoS) 공격이란?: 대량의 데이터를 한 곳의 서버에 집중적으로 전송함으로써, 서버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는 것Denial of Service (DoS)주요 서비스 거부 공격의 유형Ping of DeathSMURFINGSYN FloodingTearDropLAND AttackDDoS 공격▶️ Ping of Death(죽음의 핑): 패킷의 크기를 인터넷 프로토콜 허용 범위 이상으로 전송해 네트워크를 마비시키는 공격▶️ SMURFING(스머핑): IP나 ICMP의 특성을 악용해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한 사이트에 집중적으로 보냄으로써 네트워크를 불능 상태로 만드는 공격▶️ SYN Flooding: 3-way-handshake 과정을 의도적으로 중단시킴으로써 서버가..

[암호 알고리즘]💡 암호 알고리즘이란? : 패스워드, 주민번호, 은행계좌와 같은 중요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평문을 암호화된 문장으로 만드는 절차 또는 방법💡 암호화 기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?개인키 암호화(Private Key Encryption) 기법 : 동일한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 암호화 기법대칭 암호 기법 또는 단일키 암호화 기법이라고도 함.암호화/복호화 속도가 빠르지만, 관리해야 할 키의 수 많음.*[개인키 암호화 기법 종류]**스트림 암호화 방식- 평문과 동일한 길이의 스트림 생성해 비트 단위로 암호화- 종류 : LFSR, RC4, TKIP블록 암호화 방식 - 한 번에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암호화- 종류 : DES, SEED, AES, aRIA, IDEA, Skipjack공..

[DML - SELECT]💡 SELECT 명령어란?SELECT : 테이블에서 튜플을 검색하는 명령📌 일반 형식SELECT [PREDICATE] [테이블명.]속성명 [AS 별칭][, [테이블명.]속성명, ][, 그룹함수(속성명) [AS 별칭]][, Window함수 OVER (PRAPRIRION BY 속성명1, 속성명2, ORDER BY 속성명 3, 속성명4, )]FROM 테이블명[, 테이블명, ][WHERE 조건][GROUP BY 속성명, 속성명, ][HAVING 조건][ORDER BY 속성명 [ASC | DESC]];💡 그룹 지정 검색이란?그룹 함수 : GRUOP BY절에 지정된 그룹별로 속성 값을 집계할 때 사용하는 것함수기능COUNT()그룹별 튜플 수를 구하는 함수SUM()그룹별 합계를 ..

[DML - SELECT]💡 SELECT 명령어란?SELECT : 테이블에서 튜플을 검색하는 명령📌 일반 형식SELECT [PREDICATE] [테이블명.]속성명 [AS 별칭][, [테이블명.]속성명, ][, 그룹함수(속성명) [AS 별칭]][, Window함수 OVER (PRAPRIRION BY 속성명1, 속성명2, ORDER BY 속성명 3, 속성명4, )]FROM 테이블명[, 테이블명, ][WHERE 조건][GROUP BY 속성명, 속성명, ][HAVING 조건][ORDER BY 속성명 [ASC | DESC]];💡 검색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?기본 검색 : SELECT 절에 원하는 속성을 지정하여 검색 테이블의 모든 튜플 검색하는 예제# 예시 1 👩🏻💻SELECT * FRO..

[SQL - DML]💡 DML이란? Data Manipulation Language로 데이터 조작어라고 한다.** 저장된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언어 **DBA와 DBMS 간의 인터페이스 제공4가지 유형 : SELECT, INSERT, DELETE, UPDATE💡 SELECT 명령어란?SELECT : 테이블에서 튜플을 검색하는 명령-> 해당 내용에 대해서는 다음 차시에 자세히 다루고자 함.링크텍스트💡 삽입문이란?INSERT INTO ~ : 기본 테이블에 새로운 튜플을 삽입할 때 사용하는 명령📌 일반 형식INSERT INTO 테이블명([속성명1, 속성명2, ])VALUE (데이터1, 데이터2, );# 예시 1 👩🏻💻INSERT INTO 사원(이름, 부서) VALUES ('홍승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