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분류 전체보기 (86)
All :L

📒 예외의 처리1️⃣ 에러와 예외어떤 원인에 의해 오동작 하거나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경우exception handling(예외 처리)란?예외 발생 시 프로그램의 비 정상 종료를 막고 정상적인 실행 상태를 유지하는 것예외의 감지 및 예외 발생 시 동작할 코드 작성 필요2️⃣ 예외 클래스의 계층checked exception → 예외에 대한 대처 코드가 없으면 컴파일이 진행되지 Xunchecked exception → 예외에대한 코드가 없더라도 컴파일은 진행됨3️⃣ Exception handling 기법try{} catch() {}public class SimpleException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int[] intArray = { 10 }; t..

📒 List 계열1️⃣ 자료구조데이터 값의 모임, 또 데이터 간의 관계, 그리고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는 함수나 명령을 의미2️⃣ 배열가장 기본적인 자료 구조homeogeneous collection : 동일한 데이터 타입만 관리 가능PolymorphismObject를 이용하면 모든 객체 참조 가능 → Collection Framework담을 땐 편리, 빼낼 땐 Object로만런타임에 실제 객체의 타입 확인 후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Generic을 이용한 타입 한정컴파일 타임에 저장하려는 타입 제한 → 형변환의 번거로움 제거3️⃣ Collection Frameworkjava.util 패키지다수의 데이터를 쉽게 처리하는 방법 제공 → DB처럼 CRUD 기능 중요Collection framework 핵심 ..

벌써 프리코스의 반이 지나갔다. 시간이 진짜 빠른 것 같은 느낌?절반을 완주했다는 의미에서 중간 회고록을 작성하고 넘어가고자 한다. 지원서에 작성한 목표를 얼마나 달성하고 있다고 생각하나요?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?작성한 목표를 일정에 맞춰 대부분 달성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. 지원서 작성 당시 각 주차 별로 학습 목표를 설정했지만 단순히 "객체지향 개념 학습"과 같은 광범위한 목표만 세웠습니다. 이러한 부분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정에서 해이해질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. 따라서 목표를 구체적으로 세분화하여 진행할 필요성을 느꼈습니다. 이를 바탕으로 각 주차 별로 공부해야 하는 날짜를 지정했습니다. 아래와 같이 세부적인 주제로 목표를 세분화하였고 현재까지도 이를 잘 지켜가며 학습을 지속하고 있습니다.Jav..

프리코스 2주차를 마치며... 이번 자동차 경주 미션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과 테스트 주도 개발인 TDD를 실제로 적용해 볼 수 있었다.시작 단계에서는 요구 사항을 이해하고 시스템 구조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. 전체적인 흐름과 각 기능이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파악하는 데 시간이 다소 걸렸다. 시간이 걸리더라도 최대한 완벽하게 개발하기 위해 1주 차 피드백을 살펴보고 요구 사항 세분화를 위해 글로 직접 작성해 보며 미션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했다. 이를 통해 README를 작성하며 프로젝트의 목표와 방향성을 확실히 잡을 수 있었다. 하지만 처음 설계할 때 제대로 설계했다고 생각했는데 개발하다보니 점차 수정하고 추가해야 할 것들이 늘어나는 건 당연했다. 😭 https://github.co..

📒 generic1️⃣ Generic다양한 타입의 객체를 다루는 메서드, 컬렉션 클래스에서 컴파일 시에 타입 체크미리 사용할 타입을 명시해서 형 변환을 하지 않아도 되게 함안정성 향상 및 형 변환의 번거로움 감소2️⃣ 클래스에 선언된 Generic클래스 또는 인터페이스 선언 시 에 타입 파라미터 표시형인자(Type Parameter)단순히 임의의 참조형 타입을 말하며 성격에 따라 선언객체 생성변수 쪽과 생성 쪽의 타입은 반드시 같아야 함.Generic Type 선언Object 속성으로 사용어떤 객체든지 수용 가능어떤 타입을 속성으로 사용할지 타입 선언 시 결정컴파일 타임에 타입 파라미터들이 대입된 타입으로 대체됨.3️⃣ 주의사항raw type의 사용과 @SuppressWarning헷갈리는 사용법Pers..

[그래프의 종류와 구현]그래프그래프(Graph) : 정점이라 불리는 데이터를 간선 혹은 링크로 연결한 형태데이터 간의 연결 관계를 표현연결 그래프(connected graph) : 임의의 두 정점 사이의 경로가 존재하는 그래프비연결 그래프(disconnected graph) : 정점 사이에 경로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는 그래프방향 그래프(directed graph) : 간선에 방향이 있는 그래프무방향 그래프(undirected graph) : 간선에 방향이 없는 그래프가중치 그래프(weighted graph) : 간선에 가중치가 부여된 그래프비용(cost) : 간선에 부여된 값서브 그래프(subgraph) : 특정 그래프의 정점과 간선의 일부분으로 이루어진 그래프인접 행렬 기반 그래프 표현N X N 크기..